반응형
- 임상적으로 사용된 첫 번째 칼슘 채널 차단제
- 고혈압, 협심증 (angina), 심실상 빈맥 (supraventricular tachycardia)의 치료제
- 편두통(migraines), 군발성 두통(cluster headache) 예방, 뇌혈관 경련(cerebral vasospasm)에도 사용
- 경구 혹은 정맥 투여
작용 기전
- 칼슘 채널 차단제 (L-type 전압 개폐성 칼슘 통로 억제약)
- 심장 약리학에서 칼슘 채널 차단제는 클래스 IV 항부정맥약 (class-IV antiarrhythmic agents)에 속함
- 심장에 더 강한 작용 (혈관 평활근에도 작용하지만): 심박수와 심박출량 감소
- 심장에서 칼슘 채널은 주로 동방결절 (Sinoatrial node, SA node) 방실 결절 (atrioventricular node, AV node)에 집중.
- 방실결절을 통한 신경전도를 감소 -> 심박수 감소, 심방 부정맥 (atrial tachyarrhythmias)으로부터 심실 보호
- 전압 개폐성 칼륨 채널 차단제이기도 함
Pharmacokinetics 약물 동력학
- 경구 투여시 90%이상이 흡수
- 하지만 높은 초회 통과 대사 (first-pass metablolism)로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은 훨씬 낮음 (10-35%)
- 90%가 혈장 단백질과 결합
- 분포용적 (volumn of distribution)은 3-5 L/kg
- 경구 투여 1-2시간 후 혈장 농도 피크 도달
- 간에서 최소한 12개의 비활성 대사체(inactive metabolites)로 대사됨
(다만 하나의 대사체, norverapamil의 경우 20%의 혈관확장 활성을 유지)
- 대사체들은 70%는 소변으로 16%는 대변으로 배설.
- 혈장 농도와 복용량(dosage)간에 비선형적인 의존성(nonlinear dependence)
- 반감기는 5-12시간 (chronic dosage 경우)
- 산모가 복용시 수유를 중단하는 게 좋음: 모유로 분비되어서 아기에게 부정적인 영향 끼칠 수 있기 때문
- 조증(mania)과 경조증(hypomania)에 단기와 장기적 효과 (MgO 마그네슘 옥사이드를 함께 복용시 항조제(antimanic) 효과 증진)
주의 사항
- 좌심실 기능 장애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저혈압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하),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 심방조동 혹은 세동 (atrial flutter or fibrillation), 볼프 파킨슨 화이트 증후군 (wolff-Parkinson-White syndrome) 환자 등은 보통 사용을 피함.
부작용
- 가장 큰 부작용은 변비
- 그 밖에도 어지러움, 메스꺼움, 저혈압, 두통 등
- 다른 칼슘 통로 억제약들과 마찬가지로 치은 비대 (gingival enlargement) 유도
References
- Verapamil, wikipedia. en.wikipedia.org/wiki/Verapamil#cite_note-AHFS2016-7
반응형
'약학 > 약물&약물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식약] 1. 교감신경 작용제/베타 2 수용체 작용제-> 기관지 평활근 확장 (0) | 2021.10.06 |
---|---|
베타 1 선택적 차단제: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녹내장 치료제 (0) | 2021.05.11 |
[약물구조]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 약물 (항우울, 항정신병 등) (0) | 2021.05.05 |
고혈압 약물 2. 교감신경마비제 (Sympathoplegic agents) (0) | 2021.05.01 |
고혈압 약물 1. 이뇨제 (Diuretics) (0) | 2021.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