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윤여정 배우님의 아카데미 수상 소식을 듣고 든 생각들

by 어느날문득 2021. 4. 26.
반응형

윤여정 배우님의 아카데미 수상 소식을 듣고 든 생각들

 

- 뭔가 미국의 대중문화와 예술계에서 동양인, 특히 한국인의 representation이 조금씩 두드러지기 시작한 느낌이다. 개인적으로 미국에서 동양인은 약간 투명 인간(?) 같은 느낌을 받았다. 흑인, 히스패닉 등에 비해서 underrepresented 되어있고, 좋은 이유로든 나쁜 이유로든 관심과 주목에서 밀리는(?) 주변부에 위치한 subgroup 같달까. 소수의 매니악한 미국인들을 제외하면 아시아에 대한 이해는 극히 단편적이고 (무관심과 무지의 콜라보일까) 전형적인 스테레오 타입을 들이대는 경우도 적지 않았던 거 같다. 

 

-최근 주목을 많이 받은, 누구나 다 아는 "성공"들만 떠올려봐도 꽤 많다. 대중문화에서 BTS의 비상, 문학계에서는 한강 작가님의 채식주의자(vegetarian), 이민진 작가님의 Free food for milionaires와 Pachinko, 영화계의 경우 봉준호 감독님의 기생충 Parasite의 아카데미 수상, 그리고 미나리와 윤여정 배우님의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까지. 

 

- 오늘 수상을 보면서, 무언가 엄청난 대단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기 보다는, 이러한 주변부에 있는 동양인들의 존재와 목소리를 새삼스럽게 "의식"하게 되거나, 적어도 "의식"하는 모습이나 "인정"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생각들이 점차 퍼지고 있는 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이민진 작가의 책과 영화 미나리가 뭔가 연관지어 보기 좋을 거 같다. 미나리는 아직 줄거리 밖에 보지 못해서 잘 모르겠지만, 둘 다 미국으로 건너간 한국인 이민자를 다루었는데 어떻게 유사하게 어떻게 다르게 보여주는지 궁금하다. 기존에 한국인 이민자 이야기가 대중적으로 이 정도로 주목을 받은 적이 거의 없었던 거 같다. 이러한 주목이 가능해진 맥락(contexts)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갖는 걸까. 

 

- 앞서 한 이야기들과 무관하게, 윤여정 배우님의 수상은 한 인간의 삶을 바라보는 측면에서 뜻깊게 다가온다. 뭔가 멋진 노년의 삶, 할머니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다. 나름대로 삶의 굴곡이 있어왔지만 담담하게 자신의 길을 만들어가면서 살아가는 위트 있고 멋진 그런 할머니. 저마다 인생에서 자신의 때가 있음을, 찬란함을 꽃피우는 날이 비단 젊을 때만 찾아오는 게 아니라는 걸 보여주시는 거 같다. 점점 수명은 늘어나는데, 어떻게 할아버지/할머니로 멋지게 살아갈 수 있는지, 노년의 삶을 어떻게 잘 가꾸어나갈 수 있을지 막막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 거 같다. (위에서 미국에서의 underrepresented된 동양인을 이야기했다면, 여기선 사회 전반에서-미국 사회든 한국 사회든- 주변화되고 underrepresented 된 노인분들의 이야기인 셈이다.) 윤여정 배우님은 멋진 참고서, 롤모델이 되어주실 거 같다.  이런 분들이 더 많이 나오고 주목받기를 바란다.

 

 

반응형

댓글